- [성경본문] 창세기2:1-3 개역개정
-
1. 천지와 만물이 다 이루어지니라
2. 하나님이 그가 하시던 일을 일곱째 날에 마치시니 그가 하시던 모든 일을 그치고 일곱째 날에 안식하시니라
3. 하나님이 그 일곱째 날을 복되게 하사 거룩하게 하셨으니 이는 하나님이 그 창조하시며 만드시던 모든 일을 마치시고 그 날에 안식하셨음이니라
제공: 대한성서공회
복 주고 거룩하게 하신 일곱째 날
하나님께서 6일 동안 모든 창조를 마치셨습니다. 그리고 일곱째 날이 되었을 때에 쉬셨어요. 이 일곱째 날은 앞서 창조를 하셨던 여섯 날들과는 다르게 구별하셨습니다. 오늘 말씀 2장 3절에 보니 “하나님이 그 일곱째 날을 복되게 하사 거룩하게 하셨다” 그랬습니다.
우리는 모든 날이 하나님의 날인 줄로 믿습니다. 월요일도 화요일도 수요일도 모든 날이 주님의 날인 것은 하나님께서 시간을 만드셨기 때문이에요. 하나님께서는 한 날을 30시간도 아니요, 20시간도 아니요, 24시간으로 정하셨어요. 그렇게 하신 분이 창조주 하나님이십니다. 그러므로 어느 한 날도 주님의 날이 아닌 날이 없어요.
그런데 하나님은 창조를 마치시고 안식하신 일곱째 날을 복되게 하셨습니다. 다른 날에는 그런 언급이 없어요. 그런데 일곱째 날은 복되게 하신 것입니다. 그리고 또한 거룩하게 하셨어요. 여기에서 거룩하다라는 말씀은 따로 구별하셨다라는 뜻을 갖고 있습니다. 그러니까 제7일은 나머지 6일과는 다른 특별한 날이라는 것입니다.
이렇듯 굳이 일곱째 날을 구별하여, 복되게 하시고 거룩하게 하신 이유가 있었습니다.
일곱째 날이 다른 날과 다른 이유는 이 일곱째 날은 모든 창조를 마치신 것을 기념하는 축제의 날이기 때문입니다. 하늘과 땅과 별과 달과 육지와 바다와 그 안에 거하는 식물과 짐승과 사람에 이르기까지 정말 위대한 창조를 이루셨어요. 그리고 그 모든 우주만물 삼라만상이 보시기에 심히 좋았습니다.
시편 기자는 이 위대한 창조를 이렇게 찬양했습니다. 이는 “축시(祝詩)” 입니다.
“하늘이 하나님의 영광을 선포하고 궁창이 그 손으로 하신 일을 나타내는 도다”(시19:1)
왜 축하하고 기뻐합니까? 우리 인간 편에서는 “그 위대하고 아름다운 창조를 이루신 하나님을 찬양하기 위해서” 입니다. 인간만 하는 것이 아니에요. 자연도 모든 만물이 하나님의 위대하심과 권능을 찬미합니다. 하늘도 하나님의 영광을 선포하고 밤하늘의 반짝이는 별들도 하나님의 손길을 찬양합니다. 그러기 위한 날이 일곱째 날입니다. 이 찬미하는 일을 위해서 그 영광을 받으시기 위해서 하나님도 쉬시고 또한 모든 만물로 쉬게 하시는 날이 일곱째 날이에요.
성경 출애굽기 20장 11절에 오늘의 말씀이 반복됩니다. “이는 엿새 동안에 나 여호와가 하늘과 땅과 바다와 그 가운데 모든 것을 만들고 제 칠일에 쉬었음이라 그러므로 나 여호와가 안식일을 복되게 하여 그날을 거룩하게 하였느니라”(출20:11)
그러시면서 또 이스라엘 백성하게 하신 말씀이
“너희는 나의 안식일을 지키라 이는 나와 너희 사이에 너희 대대의 표징이니 나는 너희를 거룩하게 하는 여호와인 줄 너희로 알게 함이라”(출31:12~13)
이 안식일을 지키는 백성은 하나님의 창조를 믿고 인정하는 사람들입니다. 이 날을 지키지 않으면 하나님의 백성이 아니에요. 그래서 이스라엘 백성들은 안식일을 철저히 지켰습니다.
그러면 하나님께서 힘이 없어서 6일 동안 열심히 일하셨으니, “에고~! 힘들어라! 이제 하루 쉬어야지!” 그랬던 것일까요? 그것이 아니고 이 날을 통해 하나님의 선한 창조를 찬양하고 창조하신 하나님의 영광과 권능을 찬양하기 위해 쉬는 날이라고 말씀드렸습니다.
그런데 거꾸로 생각하면 안돼요. “안식일은 쉬는 날이다” 이렇게만 생각하고.... 그러면 왜 쉬어야 하는지 그 본질을 잃어버리면 안되겠습니다. 그러면 세상 휴일과 다를 바가 없어요. 우리가 확실히 알아야 해요. 다른 공휴일과 주일은 확실히 다른 것입니다.
그러면 안식일은 하루종일 하나님만 찬양하고 예배하고 봉사하고 정신없이 바쁘게 그렇게 보내야 하는가? 그렇지 않습니다. 이 두 가지 찬양과 쉼을 함께 취하는 날입니다. 주일은 하나님을 찬양하며 동시에 우리의 육신도 마음도 쉬는 날입니다.
그러면 어떻게 적용을 해야 할까요? 첫째, 생업을 멈추고 쉬는 날입니다. 농사를 짓든, 사업을 하든, 직장을 다니든, 늘 상 반복되어지는 생계를 위한 일을 이 날에는 쉬어야 해요. 그날은 예배하고 쉬도록 하나님께서 본을 보이며 제정하셨기 때문입니다.
하나님께서는 이스라엘이 광야생활을 하면서 이날이 구별된 날이라는 것을 실제적으로 경험하게 하셨어요. 다른 날들과는 달리, 안식일 전날에는 만나를 이틀 분을 주셨어요. 안식일 당일에는 만나를 내려주지 않으셨어요. 그거 먹을 것을 주으러 다니느라 바쁘게 땀 흘리며 힘쓰지 말라는 것이었어요.
그러므로 믿음의 사람들은 주일에는 교회에서 정성으로 예배하고 그리고 영,육간에 쉼을 갖고 재충전의 시간을 가져야 합니다. 그래야 또 한 주간이 힘차게 시작되는 것이에요.
여러분은 그거 아세요? 과거 전기가 없을 때에는 탄광에서 석탄을 캐낼 때 흔히 노새를 사용하였습니다. 노새가 흔한 동물이었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일주일에 꼭 하루씩은 햇빛 나는 바깥에 매어두고 쉬게 하였습니다. 만일 그렇게 안하면 노새는 어두운 곳에서만 있어서 눈이 멀어 버리게 되기 때문입니다. 동물들도 일주일에 하루는 쉬는 것이 하나님의 원리입니다. 그러니 농사짓는 사람들이 자기 욕심에 소를 부리고 나귀를 부리고 말을 사용한다면 이것도 잘못된 것이에요.
가축도 쉬어야 한다 하는 얘기가 나와서 한 가지 재미있는 얘기를 나눕니다. 그러면 여러분이 집에서 키우는 강아지는 주일에 어떻게 해야 할까요? 평일에도 쉬고 주일에도 그냥 마냥 쉴까요?
전에 한 교회에서 주일에 자신을 키우는 주인을 따라 예배당에 들어와서 주인의 품에 안겨 있는 강아지를 본 적이 있었어요. 바로 저와 아내의 앞자리에 그 강아지가 있었으니까 그 강아지를 쳐다 보면서 웃었어요. 이 강아지의 주인은 나이가 지긋하신 할머니셨어요. 집에 강아지를 혼자 놔두면 난리를 피니까 교회에 양해를 구하고, 예배당에 들어와 주인의 품에 안겨서 예배를 드리는 시종 내내 얼마나 얌전히 앉아 있는지 보면서 저도 아내도 “어쩜! 어쩜!” 그러면서 감동을 받았어요. 더 감동을 받은 것은 어떤 성도는 졸고 있는데 이 강아지는 졸지도 않고 마치 목사님의 말씀을 알아듣는 것처럼 귀를 쫑긋하고 열심히 듣는 모습에 감동 받았어요.
그런데 지난 12월달부터 우리교회에서도 한 이웃이 강아지를 안고 주일 예배를 드리고 있어요. 본당이 아니라 아래층 믿음관에서 드려요. 그 얘기를 듣고 저는 감사했어요. 그 강아지 때문이 아니라 그 이웃 성도가 강아지를 데리고 와서라도 예배를 드린 것이 감사한 것입니다. 앞으로 우리나라 교회 안에 이런 일이 계속 이어질 텐데 제가 이런 마음을 갖는 것은 선교사 출신이요, 그런 모습을 너무 익숙하게 보아 왔기 때문이에요.
필리핀 산지에서 예배를 드리게 되면 예배당이 건축되기 전에는 커다란 망고 나무 아래에서 예배를 드렸어요. 망고나무는 그 이파리와 이파리 사이가 촘촘해서 비가 와도 그 아래 있어면 비를 맞지 않을 정도에요. 그늘은 말할 것도 없이 아주 짙어서 태양 볕 아래에서도 시원합니다.
그런데 예배를 드리게 되면 주인을 따라 개들이 따라와서 함께 예배를 드려요. 염소도 주인을 따라와서 예배를 드렸어요. 그런데 말씀을 전하다 보니 깜짝 놀랐어요. 세상에 그 망고나무 가지에 원숭이가 앉아서 물끄러미 저를 바라보고 있는 거에요. 그런데 제가 할렐루야~! 그러면 원숭이는 “아멘~!” 그러지 않고 “꺄악~! 꺄악~!” 그렇게 화답을 해요. ㅎㅎ~!
사랑하는 성도 여러분,
주일이 소중한 것은 예배가 있기 때문입니다. 하나님의 백성만이 누릴 수 있는 놀라운 특권이에요. 왜냐하면 하나님께서 복 주시고 구별하신 날에 예배를 드리면서 하나님의 놀라운 은혜와 복을 경험하고 진정한 쉼과 진정한 회복을 경험하기 때문입니다.
저는 어제 우리교회 한 학생의 대학합격 소식을 들었습니다. 좋은 대학교에 정시 합격을 했어요. 그런데 정말 감사한 것은 그렇게 그렇게 열심히 대입시험을 준비하면서도 주일예배를 놓치지 않고 주일을 하나님께 드린 것이에요. 교회 출석 뿐만이 아니었어요. 자신이 가진 재능과 은사를 가지고 봉사하며 주일을 드렸습니다. 저는 이렇게 생각합니다. 이 청년은 앞으로 인생의 어떠한 중요한 일 앞에서도, 그리고 심지어는 어떠한 난관을 극복해 나감에 있어서도 주일을 놓치지 않을 것이다. 이미 대학시험을 치러야 하는 인생의 중요한 때에 그처럼 주일을 지켰기 때문이에요. 그와 같은 자를 하나님께서 복 주시기 않을까요? 평생에 크신 은혜를 부어주실 것입니다.
같은 맥락에서 여러분은 에릭 리델에 대하여 들어보셨나요?
중국에 파송받은 영국 선교사의 아들로 성장한 에릭 리델은 어릴적부터 먼 학교를 뛰어다니면서 육상을 잘하게 되었고 폐활량도 크고 강하게 되었습니다. 그는 영국으로 돌아와 대학교 시절부터 뜀박질에 탁월한 능력을 보이기 시작했습니다. 마침내 영국 육상 선수 대표로서 1924년 제8회 파리 올림픽 경기에 나가게 되었습니다. 그는 100미터 육상에 금메달 후보였어요. 그러나 100m 경기 첫 예선일자가 7월 6일 주일 오후 3시와 5시였어요. 그는 그 일정표를 보자마자
“저는 주일에는 안 뜁니다.”라고 단호한 결정을 알렸습니다. 그의 그런 결정은 주일 성수를 위한 자기 희생적 결정이었으며 주일은 주님의 날이므로 주님을 위한 일을 해야 한다는 신앙의 표현이었어요.
에릭 리델의 100m 경기 출전 포기를 들은 영국 전체의 반응은 냉소적이었습니다. 그를 가리켜 "편협하고 옹졸한 신앙인", "신앙을 소매 끝에 달고 다니는 신앙심 깊은 척하는 위선자", "조국의 명예를 버린 위선자"라고 비난하였습니다. 그러나 에릴 리델은 100m 예선 경기를 하던 7월 6일 주일에 스콧츠 커크(Scats Kirk) 장로교회에서 간증 설교를 하였고, 그날 에릭 리델은 경기장에 나가 동료 선수들을 격려하는 일도 하지 않고, 평소처럼 주일을 교회에서 온전히 하나님께 예배를 드렸습니다. 하나님은 이러한 에릭 리델을 버리지 않으셨어요.
에릭 리델은 자신의 주 종목이 아닌 200m 경기에서 동메달을 땄고, 400m 경기에도 출전하게 되었습니다. 그런데 사실 400m 경기는 다른 선수들의 들러리였어요. 예선에서만도 스위스의 '임바흐', 미국의 '피치'같은 선수들은 세계 신기록을 세우면서 우승후보로 주목을 받았기 때문이었습니다.
드디어 결승의 날이 왔습니다. 에릭 리델은 신들린 사람처럼 첫 코너를 돌았어요. 경기를 지켜보던 전문가들은 "에릭이 저런 속도를 유지하다가는 도중에 쓰러져 죽을지도 모른다"고 불안함을 표현하였습니다. 놀라운 일이 벌어졌어요. 에릭 리델은 임바흐, 피치 등의 우승 후보를 제치고 47초 6이라는 세계 신기록까지 세우면서 금메달을 목에 걸게 되었어요. 그가 결승전에 출전할 때 담당 안마사가 쥐어 준 쪽지가 응답되었던 것입니다.
"구약에 이런 글이 있네.'나를 존중히 여기는 자를 나도 존중하리라.' 최선의 영광이 있기를 빌면서" (In the old book it says, 'He who gonours me. I will honour' Best wishes always.) 그는 400m 경기의 우승 비결을 묻는 기자들에게 이렇게 대답하였습니다.
"처음 200m는 제 힘으로 최선을 다했고, 나머지 200m는 주님의 도우심으로 빨리 달릴 수 있었습니다." 그는 주일은 자기를 위한 날이 아니고 주님을 위한 날이라는 사실을 삶으로 설교한 위대한 신앙인이었습니다.
이제 말씀을 맺습니다.
우리 모두는 바쁘고 힘든 삶을 살고 있습니다. 그러한 우리에게는 참된 쉼과 회복이 필요합니다. 그것을 위해 하나님은 따로 날을 구별해주셨습니다.
이날에 우리는 육체적으로 쉴 뿐 아니라 거기서 더 나아가 창조와 구원에 감사하며 준비하고 사모하는 마음으로 하나님께 예배를 드려야 합니다. 왜냐하면 주님 안에만 참된 쉼과 회복이 있기 때문입니다. 다른 데는 없습니다.
우리 모두가 주일이면 주님 안에서 예배하고, 기도하고, 찬송을 드리는 가운데 참된 쉼과 회복을 경험할 수 있기를 간절히 축원합니다.
댓글0개